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
일본 전체적인 사회에서의 문화적인 코드(혼네와 다테마에, 세켄) 일본 전체적인 사회에서의 문화적인 코드(혼네와 다테마에, 세켄) 일본 사회문화를 표현하는 키워드로는 '혼네(ほんね)'와 '다테마에(たてまえ)'라는 것이 있습니다. 아마 일본어 공부하신 분들은 다 들어보셨을 거예요. 한자로는 '본음' 그다음에 '건전'이라고 쓰는데요. '혼네'는 '진실된 목소리'라는 뜻이잖아요? 진실된 소리. 그래서 개인이나, 여기서 또는 집단이 들어가는 겁니다. 개인이나 집단이 품고 있는 진실된 속마음을 얘기해요, 속마음. 그리고 가치관을 의미합니다. '혼네는 이랬다. '라고 얘기해요. 하지만 속마음은 이렇지만 사실은 다테마에, 앞으로 내세우는 것, 대외적으로 나타내는 방침 또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형식은 다테마에라고 합니다. 다테마에로서는, 앞에 내세우는 말로서는 '우리는 이렇습니다. '..
일본 기업 채용절차와 채용 관련 용어 일본 기업 채용절차와 채용 관련 용어 일본 기업의 채용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기억하셔야 될 단어가 있는데요. 바로 일본의 취업 활동이라고 하는 '취활'이라고 하는 단어입니다. 일본 특유의 방식으로 취업 활동이 이루어지거든요. 기업을 찾아내기 위한 취업 활동. 이 부분을 줄여서 슈카츠(しゅうかつ)라고 합니다. '취활'이라는 단어를 반드시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취활'. 취업 활동, 슈카츠는 외국계 기업이나 유학생의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일본의 대학생들과 같이 경쟁하는 상황이라고 판단해 주시면 됩니다. 일본에서는 신규 졸업자, 신소츠(しんそつ)라고 합니다. '신졸'이라고 합니다. 신소츠 일괄 채용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즉, 졸업하기 1년 전. 아주 짧아야 1..
일본 기업가 정신과 기업문화 일본 기업가 정신과 기업문화 기업가 정신이란 무엇일까요? 나에게 기업가 정신이란 무엇일까요? 기업가 정신은 흔히 '앙트레프레너십'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이 말의 어원은 원래 '수행하다'라는 의미의 단어에서 기원되었습니다. 결국 '수행하다' '시도하다' '모험하다'라는 어원적 정의를 가지고 있죠. 앙트레프레너십이란 단어를 기억하시면서 나에게 있어서의 기업가 정신이란 무엇일까? 일본 사회에서의 기업가 정신이란 무엇일까를 고민을 해 볼게요. 앙트레프레너십은 미국의 경제학자 슘페터의 고전적인 정의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경제발전의 이론'이라는 저서입니다. 생산적 요소의 새로운 조합을 발견하고 촉진하는 창조적 파괴, 이 단어가 굉장히 유명한데요. 앞장서는 기업가에 의해서 자본주의는 유지되었다. 결국 기업가 정신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