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 취업, 일본 기업 문화, 일본 직장 문화

일본 기업의 고용 현황과 고용 형태

일본 기업의 고용 현황과 고용 형태

일본 기업의 고용 현황과 고용 형태
일본 기업의 고용 현황과 고용 형태

일본 기업의 고용 현황입니다. 우선 가장 궁금한 건 무엇인가요? 근로자의 임금 정보일 겁니다. 내가 일해서 얼마만큼 임금을 받을 것인가? 그런데 여러분들이 하나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일본은 임금 수준이 별로 높지 않다고 많이 들으셨을 텐데요. 사실은 그렇습니다. 한번 기업 규모별 평균 임금 현황을 한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7년도 후생노동성 기준인데요. 공시자료인데요. 여기에서 정사원과 정사원 이외를 나눠놓았죠. 사원의 종류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말씀드릴 거예요. 대기업, 중기업, 소기업으로 분류해서 한번 평균 임금 현황을 확인해 보시죠. 대기업 정사원 기준으로 374만 엔 정도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그러면 '4,000만 원 정도밖에 안 돼?'라고 하실 텐데요. 여러 가지로 수당들이 많습니다. 일본은 반드시 교통비를 지급해야 돼요. 교통비가 굉장히 높은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임금 현황 한번 확인해 보시고요. 그러면 산업별로도 궁금하시죠? 자신이 지금 어떤 산업에 종사하고 싶은지 보시면 아시겠는데요. 여기에서도 정사원과 정사원 이외로 구분해 놓았습니다. 확인해 보시면, 학술연구, 전문기술 서비스업이 굉장히 높죠. 그리고 교육, 학습 지원업이 있습니다. 전공 분야에서 조금 더 높은 학위를 원하는 전문적인 부분들이 확실히 높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 한 가지, 요새 정보통신업. 특히나 일본 기업에서는 한국의 IT 기술에 능통한 전문직 일꾼을 채용하고 싶어 하는 그런 자세가 있습니다.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이 평균 임금 한번 보시면서 여러분들 참고자료로 확인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본 기업 고용 형태의 종류

우리가 궁금한 것은 고용 형태의 종류입니다. 앞에서도 정사원, 정사원 이외라고 했는데요. 그렇다면 정사원은 뭐고 그 이외는 무엇일까 궁급해하실 거예요. 바로 정규 사원을 정사원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세이샤잉(正社員)이라고 해요. 또 외래어를 써서 브로파라고도 하는데요. 정사원과 그밖에 다양한 종류의 고용 형태가 있기 때문에 그 용어들을 반드시 기억해 주세요. 어떤 형태가 있냐면, 정사원, 계약사원, 촉탁사원, 파트 타이머, 아르바이트, 파견입니다. 이게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정의부터 보세요. 결국, 정사원은 정규 고용을 해서 이 사람을 계속 연공서열이라든가 종신고용을 시키는 형태로 가는 것입니다. 즉, 기간 한정이 없는 고용 계약을 의미합니다. 우리도 정규직이라고 하잖아요, 우리 한국 사회에서는요. 그 정규직이 정사원에 해당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비정규 고용에서는 계약사원이 있는데요. 촉탁 사원이라고도 하고요. 기간이 정해져 있는 고용 계약입니다.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비정규직이라고 할 때는 계약사원이나 촉탁 사원이 많을 겁니다. 그리고 파트타이머는 단시간 근로자입니다. 몇 시부터 몇 시. 이렇게요. 그리고 아르바이트는 요일별로, 시간별로 다른 고용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달에 저는 무슨 무슨 요일에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일할 수 있다고 해서 시프트라고 합니다. 일본어로는 시후토(シフト)라고 하는데, 요일별 시간별로 굉장히 다양하게 고용을 해서 쓰는 것이 아르바이트입니다. 그러면 마지막에 있는 파견이라는 것이 굉장히 일본적인 고용 형태인데요. 직접 고용하지 않습니다. 회사에서 직접 고용하지 않고요. 파견 회사가 있습니다. 원래 파견은 한정된 분야에서만 가능했습니다. 그런데 일본의 고용노동법이 바뀌어서 다양한 분야에 파견이 가능하도록 했기 때문에 파견 회사가 성업 중입니다. 그러면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이유도 있겠죠.

일본에서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이유

비정규직을 스스로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조금 있는데요. 1위는 똑같아요. 일하고 싶은 시간에 일할 수 있어서. 특히 파트 타이머인 경우에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파트 타이머는 정해진 시간에 근무하는 것입니다. 저는 2시부터 6시까지만. 아니면 1시부터 5시까지만 매일 근무할게요. 이런 것들이 파트 타이머거든요. 일하고 싶은 시간에 일할 수 있어서. 또는 가계에 보탬이 되거나 전문적인 기능을 살릴 수 있어서 등 이런 식으로 이유가 다른데요. 남성, 여성에서 특히나 남성 쪽에서 기타 의견에 가사, 육아, 돌봄 등을 병행하고 싶어서라는 이유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국, 일본에서는 그 전 시간에 제가 일억총활약 사회라고 말씀드리지 않았습니까? 결국, 누구나 다 본인의 선택에 의해서 파트 타이머나 아르바이트 일을 하는 노동 인구가 굉장히 많습니다. 남성별, 여성별 비정규직 선택 이유를 한번 자세히 확인해 주시고요. 또 하나. 우리가 반드시 가지고 가야 될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입장입니다. 정보통신업, 도소매업, 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유능한 외국 인재를 받아들이려는 그런 입장에 있습니다. 외국인 근로자 수를 같이 보신다면 더 도움이 되실 텐데요. 정보통신업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서 정보통신업에 유능한 인재를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굉장히 크고요. 그다음에 제조업, 도소매업, 교육 학습 지원 등 외국인 근로자 수는 점점 더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 세계적으로 일본은 어느 정도로 외국인력 수입에 노력하고 있는지 확인해 본다면 좋겠죠. 그래프 보시면 아시겠지만, 캐나다, 미국, 영국, 호주처럼 외국인력 수입에 적극적이고 허용적인 나라여서 동양에서는 최고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일본은 외국의 유능한 인재를 적극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일본 기업의 고용제도. 3종의 신기와 지금 현황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