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
일본에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일본에서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할 때 이 세 가지를 반드시 기억하세요. 모두 다 일본의 직장 들어가면 '호렌소를 기억하세요. 호렌소를 기억하세요. '라고 할 거예요. '호렌소' 뭐죠? 음으로는? 그렇죠, '시금치'잖아요. '시금치? 왜 갑자기 시금치지?' 하는데요. '호우고끄(ほうこく), 렌라쿠(れんらく), 소 오단(そうだん)'의 앞 자를 딴 거예요. 그래서 '보고, 연락, 상담' 이 세 가지를 명확하게 하면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이 갖추어졌다고 판단합니다. 호렌소, 기억해 두세요. 호우고끄, 보고. 렌나끄, 연락. 소 오단, 상담. 이 세 가지를 어떻게 구분해서 할 것인가? 각각을 한번 공부해 볼까요? 보고는 우리 다 알잖아요. 보고는 뭡니까? 그렇죠, 보통 업무에 대한..
일본의 외국인 구성비와 근로자 수용 현황 일본의 외국인 구성비와 근로자 수용 현황 외국인 구성비가 그러면 도대체, 재류 자격이라는 것은 앞으로 계속 이야기를 들으실 거예요. 비자죠. 결국, 어떤 자격으로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외국인 구성비를 한번 보실까요? 영주자입니다. 일본은 영주권을 따기가 굉장히 힘들다는 얘기 많이 들으셨을 거예요. 보통 10년 정도 체류하면서 경제적으로 자산도 있고, 세 가지 항목에서 합격점을 받아야 영주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우수한 산업 인력인 경우에는 3년 또는 1년. 짧게도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그런 법령이 있습니다. 그리고 특별 영주자. 이거는 우리에게 어느 정도는 뼈아픈 이야기인데요. 특별 영주자의 거의 대부분은 재일 한국인 그리고 북한 쪽의 동포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
일본 직장인들과 일본 기업 문화 알아보기 일본 직장인들과 일본 기업 문화 알아보기 토머스 P. 롤렌이라는 사람이 'For Harmony and Strength'라고 해서 일본 발음으로는 '와또 치카라(わとちから)' '화'와 '치카라' 힘이라는 저서를 발간했습니다. 토머스 P. 롤렌은 사회학자예요. 인류학자이기도 합니다. 이 사람이 일본 어느 기업을 참여관찰했어요. 일본 은행을. 이 은행의 고도성장의 비결이 무엇인가? 오랜 기간 동안 관찰을 했어요. 그것의 결론으로 나온 것이 사실은 '하모니' 이것은 '화'의, 일본어로는 '와'를 의미하는데 영어로는 다른 단어가 없어서 그냥 '하모니'라고 표현한 겁니다. 그들이 조화로움 속에서 힘이 나왔다는 거죠. 이 기업이 승승장구한 이유를 살펴보니까, 그가 봤을 때 일본적 제도 속에서 성장한 공동체로서의 기업..